Last Updated on 2025-08-23 by AEIAI.NET
AI로 사진을 멋진 스케치 이미지로 만드는 Pencilizing 기술을 활용하고 나서 ‘이거 내 유튜브 썸네일이나 블로그 대표 이미지로 써도 되나?’ 하는 생각이 스친 적, 없으신가요?괜찮아요. 저도 그랬으니까요. 클릭 몇 번으로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이 나오니 신기하지만, 동시에 ‘이거 공짜로 막 써도 뒤탈 없는 건가?’ 하는 찝찝함이 드는 게 당연합니다.
사실 AI 생성 이미지의 저작권 문제는 ‘된다, 안된다’로 딱 잘라 말할 수 있는 간단한 영역이 아닙니다. 하지만 겁먹을 필요는 없어요. 수많은 약관과 해외 사례까지 파고들어 본 제가, 여러분이 법적 문제없이 안전하게 AI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경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는 다 걷어내고, 딱 확인해야 할 핵심만 짚어드릴게요.
바쁘신 분들을 위한 3줄 요약
- 핵심 원칙: AI가 ‘알아서’ 그린 그림은 저작권 등록이 안됩니다. 하지만 사람이 얼마나 창의적으로 개입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툴 별 약관 확인은 필수: 어떤 툴은 상업적 이용을 허용하지만, 어떤 툴은 엄격히 금지합니다. 내가 쓰는 툴의 이용 약관부터 확인하는 게 첫걸음입니다.
- 가장 안전한 길: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이미지를 원한다면, 상업적 이용을 명시적으로 허용한 AI 툴을 사용하고, 원본 사진의 저작권까지 확실히 해결해야 합니다.
Step 1. 시작 전, 이것만은 꼭 챙기세요 (준비물 체크리스트)
AI 이미지 저작권을 논하기 전에,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두 가지 준비물이 있습니다. 이걸 놓치면 뒤의 모든 노력이 의미 없어집니다.

- [ ] 1. 원본 사진의 저작권은 깨끗한가?
- 가장 흔한 실수입니다. 남의 사진을 무단으로 가져와 AI로 변환하는 것은 시작부터 저작권 침해입니다. 반드시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이나, 상업적 이용이 허용된 스톡 이미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 [ ] 2. 내가 사용하는 AI 툴의 이용 약관(Terms of Service)을 확인했는가?
- 모든 AI 툴은 저마다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업적 이용(Commercial Use)’에 대한 조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서비스 홈페이지 하단에 작은 글씨로 링크가 있습니다.
Step 2. 가장 큰 규칙, ‘인간의 창의성’이라는 기준
AI 이미지 저작권 논란의 중심에는 미국 저작권청(U.S. Copyright Office)이 있습니다. 이들의 입장이 사실상 글로벌 표준이 되고 있거든요.
결론은 이렇습니다: “기계가 자율적으로 생성한 작품은 저작권 등록 대상이 아니다.” 즉, AI가 프롬프트 입력만 받고 ‘알아서’ 그린 그림은 인간의 창작물로 보지 않는다는 겁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나옵니다. AI를 ‘도구’로 사용하고, 그 과정에 인간의 창의적인 선택과 배열, 수정이 얼마나 개입되었는가에 따라 저작권 인정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잠깐! 여기서 90%가 하는 치명적인 실수
“AI가 그렸으니 저작권 없는 공공재 아닐까? 그냥 막 써도 되겠지?” 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건 정말 위험한 착각입니다. AI 생성물 자체는 저작권 등록이 안 될지라도, 그 결과물을 만드는 데 사용된 AI 모델, 학습 데이터, 원본 이미지 등에는 모두 복잡한 저작권이 얽혀있습니다. ‘주인 없는 그림’이라고 생각하고 함부로 사용했다가는,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법적 문제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Step 3. 현실적인 판단 기준, ‘AI 툴 이용 약관’ 파헤치기
그렇다면 우리는 현실적으로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정답은 내가 사용하는 AI 툴의 이용 약관에 있습니다. 각 서비스는 자신들의 결과물에 대한 사용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툴 종류 | 상업적 이용 정책 (일반적인 경향) | 꼭 확인해야 할 문구 |
Midjourney | 유료 플랜 구독 시, 생성한 이미지에 대한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며 상업적 이용을 허용합니다. (단, 회사 자산이 100만 달러 이상일 경우 Pro 플랜 이상 사용 요구) | “Ownership”, “Commercial Use”, “You own all Assets you create” |
Stable Diffusion | 로컬에 직접 설치한 오픈소스 모델은 상업적 이용에 제한이 거의 없습니다. (단, 사용한 특정 체크포인트 모델의 라이선스는 별도 확인 필요) | “License”, “Permissible Use”, “CreativeML Open RAIL-M” |
Pencilizing 계열 툴 (Fotor, BeFunky 등) | 서비스마다 정책이 다릅니다. 대부분 유료 플랜에서 상업적 이용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고, 무료 버전은 비상업적 용도로 제한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 “Commercial Rights”, “Subscription Plan”, “Pro Features” |
이렇게 하면 절대 실패 안 해요: 툴 홈페이지 하단의 Terms of Service
또는 License
메뉴를 클릭하고, 페이지 내에서 Ctrl+F
키를 눌러 Commercial
이라는 단어로 검색해 보세요. 대부분의 경우, 상업적 이용에 대한 정책을 명확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Step 4. 그래서, 나는 뭘 써야 할까? (상황별 최종 권장)
수많은 테스트와 약관 분석을 거친 제 결론은 이렇습니다.

- 블로그 썸네일, SNS 프로필 등 개인적인 용도로 쓴다면?
- 대부분의 무료 Pencilizing 계열 툴(Fotor, BeFunky 등)을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만약을 위해 출처를 작게 표기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유튜브, 광고, 제품 판매 등 직접적인 수익 창출이 목적이라면?
- 가장 안전한 선택은 Midjourney 유료 플랜을 구독하거나, 로컬에 Stable Diffusion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는 사용자에게 생성물의 소유권을 부여하기 때문에 법적 분쟁의 소지가 가장 적습니다.
- Pencilizing 계열 툴을 꼭 상업적으로 써야 한다면?
- 반드시 해당 서비스의 유료 플랜을 구독하여 상업적 이용 권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무료 버전으로 만든 결과물을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약관 위반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자주 묻는 질문 (FAQ)
AI 이미지 저작권, 파고들수록 복잡하죠. 아마 이 글을 다 읽고도 몇 가지 질문이 머릿속에 맴돌 겁니다. 가장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내용만 따로 모아봤습니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입니다. 원본 사진에 대한 저작권은 당신에게 있지만, AI가 변환한 ‘스타일’ 부분은 저작권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이 AI 결과물을 포토샵 등으로 상당 부분 수정했다면, 그 ‘수정된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할 여지는 있습니다.
아닙니다. 다른 사용자가 비슷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매우 유사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AI 생성물은 독창성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브랜드 로고처럼 고유성이 중요한 작업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Adobe Firefly 같은 툴은 자사의 스톡 이미지로만 학습하여 저작권 문제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또는 상업적 이용을 명시적으로 허용한 툴(Midjourney 유료 플랜 등)을 사용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한 가지
AI 저작권은 여전히 빠르게 변화하는 회색 지대입니다. 이 글은 2025년 8월 기준으로 제가 직접 확인하고 분석한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이지만, 법적인 자문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수백만 원이 걸린 중요한 상업적 프로젝트라면, 최종 사용 전 반드시 법률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안전한 게 최고니까요.